공학/동역학

[동역학] 평면에서의 기구학(Planar kinematics)

슬기나무 2022. 1. 24. 22:5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평면에서의 기구학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본문의 내용은 참고문헌의 내용을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참고문헌: Computer-aided analysis of mechanical systems, Parviz E. Nikravesh

 평면 기구학(Planar kinematics)

평면에 임의의 body ii가 존재한다면, 해당 body의 운동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3개의 좌표가 필요합니다. xi,yi,ϕi가 그것입니다.

 

xi,yi는 평면 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ϕi는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에 대한 자세를 나타냅니다.

body i위의 점 Pi를 가리키는 벡터 rPi, 출처:Computer-aided analysis of mechanical systems, Parviz E. Nikravesh

 

위 그림에서 벡터 rPi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rPi=ri+AisPi

 

이 때, 

Ai=[cosϕisinϕisinϕicosϕi]

 

입니다. 식 (1)을 조금 풀어서 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xPiyPi]=[xiyi]+[cosϕisinϕisinϕicosϕi]+[ξiηi]

 

 

 기구학적 구속(kinematic constraint)

우리가 실생활에서 접하는 기구라 부를 수 있는 구조물들은

 

모두 목적성을 가지고 저마다의 자유도를 가진 채 운동합니다.

 

여기에선 특정 자유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joint라 부르기로 합니다.

 

리벳, 볼트, 못 등이 있을 수 있겠죠.

 

우리는 이와 같은 joint들을 구속 자유도에 따라 다르게 부르며,

 

이를 구속식(Φ, constraint equation)이라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Revolute joint

 

Revolute joint는 병진자유도를 구속하는 joint로써, 회전에 대한 자유도 1개만을 가집니다.

body i와 body j를 구속하는 Revolute joint, 출처:Computer-aided analysis of mechanical systems, Parviz E. Nikravesh

위 그림과 같이 벡터 rPi=ri+sPirPj=rj+sPj가 동일하면

 

해당 점이 일치하니 그 점으로 구속되는 형태입니다.

 

수식으로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Φ(r,2)ri+AisPirjAjsPj=0

 

이를 조금 풀어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Φ(r,2)=[xi+ξPicosϕiηPisinϕixjξPjcosϕj+ηPjsinϕjyi+ξPisinϕi+ηPicosϕiyjξPjsinϕjηPjcosϕj]=[00]

 

 

Translational joint

 

Translational joint는 회전자유도를 구속하는 joint로써, 병진에 대한 자유도 1개만을 가집니다.

 

병진과 회전자유도 각각 1개씩을 구속하는 구속식이 필요한데요.

 

회전자유도는 아래와 같은 구속식으로 구속가능합니다.

 

Φ(t,1)ϕiϕj(ϕ0iϕ0j)=0

 

body i와 body j를 구속하는 translational joint, 출처:Computer-aided analysis of mechanical systems, Parviz E. Nikravesh

나머지 회전자유도 하나를 구속하는 방법은 위의 그림을 보면서 생각해봅시다.

 

body i 위에 벡터 ni가 존재한다고 했을 때,

 

body i 위에서 body j 위를 가리키고, 상호 병진운동하는 자유도의 방향과

 

같은 방향의 벡터 d를 만들면

 

벡터 ni와 벡터 d가 항상 수직이면 이 기구는 직선운동만 합니다. 즉,

 

nTid=0

 

풀어서 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xPixRi)(xPjxPi)+(yPiyRi)(yPjyPi)=0

 

따라서 translational joint의 전체 구속식은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Φ(t,2)[(xPixRi)(xPjxPi)+(yPiyRi)(yPjyPi)ϕiϕj(ϕ0iϕ0j)]=[00]

 

 

그런데 만약 3개 자유도 중 병진자유도 1개만 구속하고 싶다면 그 구속식은 어떻게 될까요?

 

translational joint의 구속식에서 각도에 대한 부분만 빼주면 되겠죠? 

 

여기까지 회전과 병진자유도를 구속하는 각각의 joint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