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3

[인물정보] 피터 린치(Peter Lynch)

월가의 전설로 불리는 피터린치에 대해 알아봅시다. 월스트리트의 전설적인 투자자, 피터 린치(Peter Lynch) 피터 린치는 월가의 전설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본인이 현역 펀드매니저로 활동했던 1977~1990년까지 약 13년의 기간동안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의 마젤란 펀드를 맡으며 연 평균 29.2%, 총 2700%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수익률을 기록했기 때문인데요. 이 경이로운 수익률은 같은 기간 S&P500 지수 상승률의 두 배에 달하며, 월가에서 10년이 넘는 장기간동안 시장수익률을 능가한 경우는 피터 린치와 워렌 버핏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통 월가의 3대장을 꼽으라면 이견이 거의 없이 조지 소로스, 워렌 버핏, 피터 린치를 꼽는다고 합니다. 투자관 피터 ..

잡학사전/인물 2021.01.04

[정보] C클래스? S클래스? 펀드 유형!

이번 글에서는 펀드 유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펀드 유형에는 개인투자자용, 기관투자자용을 비롯해 여러 유형이 있지만 개인투자자의 경우 크게 A, C, S 클래스 3종류만 알면 됩니다! 펀드 수수료 공통적으로 모든 유형에서 펀드 운용 수수료는 지불하게 되며 A클래스는 펀드를 구입할때 수수료를 지불하고, C클래스는 펀드 매매 시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는 대신 연간 수수료를 지불하며, S클래스는 펀드를 판매할 때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A클래스도 연간 수수료를 지불하긴하나, C클래스에 비해선 저렴한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A클래스는 장기투자에 적합하고, C클래스는 단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그리고 클래스 표시 대문자 옆에 e라고 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예: Ce) e는 온라인 전용 펀드로써, 오프라인 펀드에 비..

[용어] PER, PBR, ROE?

유래없는 질병으로 인한 주가 하락 이후 지속적인 상승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주식 투자에 뛰어든 개인 투자자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주식을 할 때 가장 흔하면서도 기본적으로 기업을 분석할 때에 알아야 할 용어가 있다. 그것이 바로 PER, PBR, ROE!! PER(주가 수익률, Price Earning Ratio) 영어 단어 뜻 그대로 주가와 이익 간의 비율이며,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이다. 즉, PER = 주가 / 주당 당기순이익 예를 들어 주가 10만원짜리 기업이 주당 순이익 1만원을 벌었다면 그 기업의 PER은 10이 된다. 업종별로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기업은 저평가되어있다고 말한다.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value Ratio) PBR은 주..

1
반응형